60대는 자산을 지키는 것만큼이나,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은행은 '예금·적금' 상품 위주로만 설명할 뿐, 정작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전략은 알려주지 않습니다.
오늘은 은행이 말해주지 않는 60대를 위한 재테크 전략 7가지를 소개합니다. 자산을 지키고, 불리고, 안정적으로 운용하는 데 도움이 될 정보들입니다.
1. 예금보다 배당주: 매년 현금 흐름 만들기
정기예금 금리는 3%대지만, 고배당주 투자를 활용하면 연 5~7%의 현금 흐름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KT, 하나금융지주 등 안정적인 배당을 주는 기업을 분산 투자해보세요.
2. 연금저축 & IRP 세액공제 적극 활용
60대도 연금저축펀드나 개인형 퇴직연금(IRP)에 가입 가능하며, 연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혜택과 함께 노후 자산까지 준비할 수 있는 필수 전략입니다.
3. 고정 지출 줄이기: 통신비·보험비 재정비
재테크는 수입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출을 줄이는 것 역시 직접적인 자산 관리입니다.
- 알뜰폰 요금제: 월 1~2만 원으로 통신비 절약 가능
- 보험 리모델링: 중복 보장, 비싼 종신보험 등 정리
4. 실손의료보험 갱신 여부 확인
60대 이후는 실손보험료가 급등하는 시기입니다. 보험료가 4~5배까지 오를 수 있어, 지금 가입 중인 보험이 실효성이 있는지 꼭 점검해야 합니다.
5. 부동산은 수익형으로 전환
더 이상 '보유'보다는 현금 흐름을 만드는 부동산 활용이 중요합니다. 비주거 상가나 리츠(REITs), 오피스텔 등으로 월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6. 시니어 금융상품 이용하기
정부나 은행에서는 중장년층을 위한 전용 금융 상품도 제공합니다.
- 중기청 시니어 창업대출
- 시니어 맞춤 주택연금 상품
- 노인 대상 우대금리 정기예금
7. 디지털 금융 활용 능력 키우기
금융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스마트폰이나 인터넷뱅킹 활용은 필수입니다. 요즘은 모바일로 예·적금 가입 시 더 높은 금리를 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 마무리 조언
은행이 소개하는 상품에만 의존하지 마세요. 은퇴 이후의 재테크는 '보존'과 '현금 흐름'의 균형이 핵심입니다. 지금 소개한 7가지 전략을 본인의 상황에 맞게 적용해보면, 더욱 안정적인 노후 자산관리가 가능합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금융 감각은 훈련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한 걸음씩 지금부터 시작하는 것입니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천만 원으로 시작하는 50대 소액 투자법: 안정성과 수익 둘 다 잡는 방법 (1) | 2025.04.21 |
---|---|
퇴직 후 10년, 이렇게 준비한 사람은 노후가 다릅니다 (실제 사례 포함) (0) | 2025.04.21 |
2025년 최신 연금제도 완벽 정리: 수령 나이부터 수령액까지 한눈에! (0) | 2025.04.21 |
국민연금만으론 부족합니다! 중장년을 위한 월 30만 원 추가 수입 만드는 법 3가지 (3) | 2025.04.20 |
50대에 꼭 시작해야 할 노후 준비 5단계: 지금 안 하면 후회합니다 (1)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