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숏에 대한 이야기와 장면 구성 단위 10가지 종류

by 엠제이드래곤 2022. 8. 16.

영화 숏의 이야기와 장면 구성 단위  10가지 종류

숏(shot)은 영화가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마치 연극의 한 장면을 바라보는 관객의 시선과 거의 동일시 했다. 그래서 옛날 무성영화를 보면 연극 무대를 찍어 놓은 촬영본을 보는 기분이 든다. 그래서 영화 제작자들은 차별화와 한계 극복을 위해 어떤걸 해야 될까 고민을 했고, 그래서 등장한 것이 행동을 개별 숏(장면)으로 나눈 것이다. 숏 개념이 도입되자 이제는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숏과 시퀀스를 논리적으로 배열할 필요가 생겼다.


장면 구성 단위 10가지

 

1. 와이드숏 또는 롱숏

장면 전체를 촬영하는 것을 말하며,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는 주제와 관련성을 가지낟. 만약 대본에 '와이드숏- 시골마을' 이라고 쓰여 있다면, 촬영 감독은 한눈에 모든 것을 볼 수 있도록 단초점 렌즈로 마을 전체 풍경을 촬영해야 된다. 만약 대본에 '와이드숏-주인공 방'이라고 쓰여 있다면 이것은 방 안 전체를 보여주라는 의미를 말한다.

 

2. 설정숏

주로 와이드숏으로 만들어지며, 한 신의 도입부에서 장소와 위치를 설명해 주는 숏으로 사요 ㅇ된다.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설정 숏 - 주인공의 사무실'과 같은 경우다. 이 장면은 아마도 사무실이 있는 건물 전체를 와이드숏으로 보여 줄 것이기 때문에, 다음 장면으로 주인공이 책상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보여 주면 관객은 지금 주인공의 사무실에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관객은 설정 숏에서 도심 한 가운데 위치한 큰 건물을 보았다. 여기서 배경으로 보이는 복잡한 거리 풍경은 도심의 어느 분주한 평일임을 나타낸다. 이처럼 설정 숏은 관객에게 상당한 양의 정보를 전달한다.

 

3. 풀숏

피사체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풀숏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한 대의 풀숏이라고 하면 그 자동차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자동차의 운전자와 운전석 문만 보여 주는 것은 오히려 미디엄 숏에 가깝다.

 

4. 미디엄숏

미디엄숏은 주제와 관련 있는 피사체를 와이드숏보다 좀 더 가까이에서 촬영한 것이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에서 음료를 주문하는 사람들의 허리 윗부분을 보여 주는 것이 전형적인 미디엄숏이다. 즉, 와이드숏보다는 피사체 쪽으로 다가갔기 때문에 인물의 표정이나 옷차림을 상대적으로 자세하게 볼 수 있다.

 

5. 투숏

투숏은 두 명의 인물을 보여 주는 모든 장면을 말한다. 한장면 안에서 일어나는 두 사람의 상호 작용은 스토리텔링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투숏은 자주 사용하는 장면 중 하나다. 두 인물이 프레임 안에서 반드시 균형 있게 배치될 필요는 없다. 여러가지 형태로 서로 마주보거나 둘 다 앞을 바라보거나 고개를 돌리고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류의 장면을 촬영할 때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모두 동일하다.

 

6. 클로즈업 숏

장면을 묘사할 때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표현 방법 중 하나다. 일반적으로 머리에서부터 셔츠 주머니 아래 정도까지를 말한다.

 

7. 오버숄더숏

클로즈업의 변형된 형태다. 인물의 어깨 너머로 다른 배우의 미디엄숏 또는 클로즈업을 보여 주는 것을 말하며, 연결 숏과는 다른 개념이다. 오버숄더숏은 등장하는 두 인물을 한데 묶고, 대사를 말하거나 듣고 있는 사람에게로 관객의 관심을 집중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관객을 극중 내용으로 끌어 들이고 관여시키기 때문에 오버숄더숏은 내러티브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표현 방법이다.

 

8. 반응숏

반응숏은 어떤 사건이 발생하거나 어떤 인물이 무엇인가를 말한 뒤에 같은 공간의 다른 위치에 있는 다른 인물이 나타내는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대방이 아닌 주인공의 모습을 직접 보여주기도 한다. 

 

9. 인서트

그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컷이 될 수 있는 장면이다. 예를 들면 주인공이 책을 읽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주인공이 읽고 있는 책을 보여 주기 위해서 어깨 너머로 책을 직접 촬영할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 그 정도 거리에서 글씨를 읽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책만을 따로 촬영 하는 것이며, 이러한 인서트의 종류는 몇가지가 있다.

-실용인서트

- 강조 인서트

- 분위기 인서트

 

10. 연결숏

인물이나 피사체를 한 프레임 안에 모두 담기 힘들 때는 연결숏을 사용한다. 특히 인물이 무엇인가를 보고 있고, 연결된 다음 장면에서 그 인물이 보고 있는 대상을 시점숏으로 보여 줄 때 연결숏을 사용한다. 그리고 등장인물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두 명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같은 공간에 있는 모든 경우에서도 연결숏을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영화 숏의 이야기와 장면 구성 단위  10가지 종류에 대해서 알아 봤는데 상황에 적절한 숏을 사용하면 영화의 완성도가 확실히 올라가게 된다.